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context api
- 불변성
- 가변성
- node
- react-router-dom
- webapi
- 코딩테스트
- Web API
- NEXT
- math
- element
- location
- JavaScript
- date
- react
- fetch
- typescript
- 연산자
- ECMAScript
- promise
- javascirpt
- 프로그래머스
- URLSearchParams
- 동기
- 비동기
- Today
- Total
목록Javascript (50)
sol의 개발로그
Nullish병합 (Nullish Coalescing) 코드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해석하는데 null, undefined데이터를 외 모든 데이터를 만나면 반환한다 즉, 거짓을 판별할 때 null, undefined만을 거짓으로 받아드려 더 축소한 범위에서 사용을 한다. const n = 0; //OR 연산자를 사용하는경우 const num1 = n || 7; console.log(num1); // 7 // Nullish 병합 연산자를 사용한 경우 const num 2 = n ?? 7 console.log(num2) // 0 /*사용 예시*/ console.log(null ?? 1) // 1 console.log(undefinde ?? 2) // 2 console.log(null ?? undefined) ..
논리(Logical) 조건식을 평가하고 논리적인 결과를 반환하는 연산자로 주로 불리언 값에 대한 조건을 처리하는데 사용되며 주요 논리 연산자로는 &&, ||, 이 있다 const a = true; const b = false; // AND 연산자 if(a && b){ console.log("모두가 참!!") } /* 위와 같은 코드는 a, b 모두 참이어야한다는 조건문*/ // OR(또는) 연산자 if(a || b){ console.log("하나이상이 참") } /* 위와 같은 코드는 a, b 둘중 1개만 참이여도 된다는 조건문*/ ★ AND 주의사항 블리언 값만이 도출되는것이 아니다 AND 연산자의 경우 코드의 왼쪽에서부터 확인해서 가장 먼저 만나는 거짓데이터를 반환한다 모든 데이터가 참이라면 마지막 ..
부정(Negation) 작성한 데이터에 반대되는 Boolean데이터를 의미한다. 0 = falsey 데이터로 ! -> 부정연산자를 사용할 시 true 값을 출력하게 된다. 느낌표(부정연산자)를 여러 개 붙여서 사용이 가능하며 !! 를 붙일 경우 아래와 같은 결과값을 도출할 수 있다. console.log(!true) // false console.log(!false) // true // console.log(!0) // true console.log(!!0) // false console.log(!null) //true console.log(!undefined) //true console.log(!NaN) //true console.log(!'') //true // console.log(!{}) //fa..
산술(Arithmetic) _ +, - , / , * 등의 계산을 의미 [자바스크립트에서는 % 나머지연산자도 있다] 값과 값 사이에 기호를 사용해서 계산하는데 이때 사용하는 기호를 연산자라고 하고 연산자 양쪽에 있는 값을 피연산자로 얘기한다. 연산자 : 기호, 피연산자 : 데이터 console.log(1 + 2); //3 console.log(5 - 7); //-2 console.log(3 * 4); //12 console.log(10 / 2); //5 // 짝수와 홀수를 구분하는것에서 유용하게 사용됨 console.log(7 % 5); //2 function inEven(num) { return num % 2 === 0; } console.log(inEven(3)); //false console.log..

원시형 데이터(String, Number, Boolean, null, undefined) 문자 데이터 큰따음표 : "Hello" 작은 따옴표 : 'Hello' 빽틱기호(템플릿리터럴방식): Hello 1번과 2번의 경우 자바스크립트를 작성하면서 둘 중 한 가지를 선택해서 사용하게 된다. 3번은 선택의 개념이라기보단 보관(어떠한 데이터를 문자데이터 내부에 채워 넣는)의 의미로 사용된다 템플릿 리터럴: 문자 중간에 데이터를 채워넣을 때 사용되며 띄어쓰기가 인식이 된다. const string1 = "Hello"; const string2 = 'Hello'; const string3 = `Hello ${string1} ?!`; console.log(string3); // Hello Hello ?! 숫자 데이터 ..
ES_위키백과 판 출판일 이름 이전 판과의 차이점 1 1997년 6월 초판 2 1998년 6월 ISO/IEC 16262 국제 표준과 완전히 동일한 규격을 적용하기 위한 변경. 3 1999년 12월 강력한 정규 표현식, 향상된 문자열 처리, 새로운 제어문 , try/catch 예외 처리, 엄격한 오류 정의, 수치형 출력의 포매팅 등. 4 버려짐 4번째 판은 언어에 얽힌 정치적 차이로 인해 버려졌다. 이 판을 작업 가운데 일부는 5번째 판을 이루는 기본이 되고 다른 일부는 ECMA스크립트의 기본을 이루고 있다. 5 2009년 12월 더 철저한 오류 검사를 제공하고 오류 경향이 있는 구조를 피하는 하부집합인 "strict mode"를 추가한다. 3번째 판의 규격에 있던 수많은 애매한 부분을 명확히 한다.htt..
Shallow Copy (얇은 복사) 데이터의 참조값(주소 값)을 복사(스택영역)하기 때문에 참조하고 있는 실제 값이 같다. 객체 안에 객체가 있을 경우 한 개의 객체라도 기존 변수의 객체를 참조하고 있다면 얇은 복사이다 객체를 복사할 때 해당 객체만 복사하여 새 객체를 생성한다. 복사된 객체의 인스턴스 변수는 원본 객체의 인스턴스 변수와 같은 메모리를 참조한다. 위와 같은 성질로 해당 메모리 주소의 값이 변경되면 원본 객체 및 복사 객체의 인스턴스 변수 값은 값으로 함께 변경된다. let a = [1, 2, 3] // 가상메모리 주소 : 225a let b = a // 가상메모리 주소 : 225a let sam = a === b; // true 위 코드와 같이 변수 a에 b를 직접 대입하는 경우 참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