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math
- location
- 불변성
- 연산자
- node
- context api
- typescript
- webapi
- promise
- NEXT
- javascirpt
- Web API
- 프로그래머스
- react-router-dom
- ECMAScript
- 동기
- URLSearchParams
- 비동기
- JavaScript
- react
- date
- 코딩테스트
- 가변성
- element
- fetch
- Today
- Total
목록Javascript (50)
sol의 개발로그
함수가 자기 자신을 호출하는 함수를 의미한다. 즉 함수내부에서 자신을 호출하여 반복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코드 재귀함수는 주로 반복적인 작업이나 문제를 더 작은 단위로 쪼개어 해결하는 데 사용되고 알고리즘 구현에서 자주 사용된다 특히 트리 구조나 그래프와 같이 재귀적인 자료구조를 다루는데 유용하다. 또한 재귀적인 접근이 코드의 가독성을 높이고 간결한 구현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재귀함수 특징 Base Case : 종료조건을 만족하면 함수가 더 이상 자기 자신을 호출하지 않고 종료된다. 이를 Base Case라고 하며 재귀함수는 반드시 종료 조건이 필요하다 종료되는 조건이 없다면 자기 자신을 끈 없이 호출하여 무한정 반복되기 때문 Subproblem (문제를 작은 단위로 분할) : 재귀 함수는 주어진 문제를 ..
함수가 실행될 때 매개변수로 함수를 전달받아서 나중에 실행되는 함수를 의미한다. 이러한 동작은 자바스크립트에서 함수를 일급 객체로 취급하기 때문에 가능하며 함수가 다른 함수의 인자로 전달될 수 있고 반환값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콜백함수의 사용은 주로 비동기적인 작업이 필요한 상황에서 자주 발생하게된다. const a = (callback) => { callback(); console.log("A"); }; const b = () => { console.log("B"); }; a(b); const sum = (a, b, c) => { setTimeout(() => { c(a + b); }, 1000); }; sum(1, 2, (value) => { console.log(value); }); 이미지의 로드를..

함수를 정의할 때는 호출을 위해 이름을 작성하여 만든다 이때 호출 없이 즉시 실행하는 함수를 만들기 위해서는 특정 패턴을 가지고 익명함수를 만들게 되는데 이를 즉시 실행함수(IIFE)라고 부른다. 즉시 실행함수의 경우 1번만 실행되며 외부에서 접근할 수 없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즉시실행 함수 패턴 ;(()=>{})() : (F)() ;(function(){})() : (F)() ;(function(){}()) : (F()) ;!function(){}() :!F() ;+function(){}() : +F() const a = 7; (() => {console.log(a * 2);})(); // (F)() (function () {console.log(a * 2);})(); // (F)() (functi..
ES6에서 도입된 새로운 함수 정의 방식으로 함수를 더 간결하고 간편하게 작성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화살표함수 특징 변수에 함수가 할당되어 작성한다. (function 키워드 생략) 간결한 구문 : 기본 함수도 짧은 코드로 함수를 작성할 수 있다. Lexical this : 자신만의 this를 가지지 않고 외부 스코프의 this를 상속받아 일반적 함수에서 발생하는 this의 혼란을 해결할 수 있다. 매개변수 처리 : 인자가 하나인경우 괄호가 생략이 가능하며 인자가 없거나 여러개 인 경우 소괄호로 묶어줘야 한다. 단일표현식(implicit return) : 함수 내부에 단일 표현식이 있는 경우 중괄호 대신에 표현식을 바로 반환한다.(함수 내부에 return문이 바로 나오는 경우 중괄호와 retrun 생략..
유사배열의 경우 DOM요소들이나 함수 내부의 arguments 객체등이 해당된다. 에슬 들어 DOM 요소들은 HTMLCollection 또는 NodeList로 반환되는데 이들은 유사 배열에 해당된다. function sum(...rest) { console.log(rest); // [1, 2, 3, 4, 5, 6, 7, 8, 9, 10] console.log(arguments); /* [Arguments] { '0': 1, '1': 2, '2': 3, '3': 4, '4': 5, '5': 6, '6': 7, '7': 8, '8': 9, '9': 10 } */ return rest.reduce(function (acc, cur) { return acc + cur; }, 0); } console.log(su..
매개변수의 기본값 (Default value) 함수실행문을 작성할 때 매개변수를 작성하지 않으면 undefined의 암시적 데이터가 전송되기 때문에 값이 지정되지 않는 경우 함수정의 시 매개변수의 기본값을 작성할 수 있다. function sum(a, b) { return a + b; } console.log(sum(1, 2)); //3 console.log(sum(7)); // NaN //숫자와 undefined가 만났기 때문에 숫자인데 읽을 수 없는 숫자데이터반환 // 매개변수 기본값 지정 function sum(a, b = 1) { return a + b; } console.log(sum(1, 2)); //3 console.log(sum(7)); // 8 기본값이 지정되어있지만 함수 실행 시 전달되..
return : 함수 실행을 종료하고, 주어진 값을 함수 호출 지점으로 반환한다. 함수의 반환 함수가 호출되고 실행된 후에 결과 값을 호출한 곳으로 반환하는 과정을 의미하며 함수는 인자를 받아서 특정 작업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반환하게 되며 자바스크립트에서의 반환은 'return' 키워드를 사용하여 수행하게 된다. function hello() { return "hello~~"; } console.log(hello()); // hello~~ 함수의 종료 함수가 실행되고 코드를 모두실행한 후에 정상적으로 종료되는 상태를 의미하며 함수의 종류는 함수 본문 내의 코드가 모두 실행되거나 return 키워드를 만났을 때, 혹은 예외(Exception)가 발생했을 때를 의미한다. function plus(nu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