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element
- 코딩테스트
- location
- Web API
- typescript
- 프로그래머스
- javascirpt
- webapi
- fetch
- math
- JavaScript
- node
- 가변성
- react
- react-router-dom
- 비동기
- date
- context api
- NEXT
- ECMAScript
- promise
- URLSearchParams
- 동기
- 불변성
- 연산자
- Today
- Total
목록Javascript (50)
sol의 개발로그
함수선언 또는 선언문(Declaration) function으로 시작해서 함수명이 존재한다. function hello() { // console.log("hello~") }; hello(); // hello 함수표현식 (Expression) 변수로 시작해서 변수이름을 지정하고 할당연산자를 이용하여 함수를 할당한다. const hello = function () { console.log("hello~"); }; 호이스팅(Hoisting) 자바스크립트로 인하여 함수 선언부가 유효범위 최상단으로 끌어올려지는 현상을 의미한다. 함수표현식은 호이스팅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함수선언*/ hello(); // hello~ function hello() { console.log("hello~"); } /*함수표현..
반복문 While 주어진 조건이 참인 동안 반복적으로 코드 블록을 실행하는 반복문이며 반복할 횟수가 정해져 있지 않기 때문에 조건이 거짓이 되는 시점이 존재해야지만 While문은 반복을 멈출 수 있다. let n = 0; // 1. 조건문에 대한 정확한 거짓시점이 없는 경우 while (n < 4) { console.log(n); } // 2. 조건문에 대한 정확한 거짓시점을 만들어준 경우 while (n < 4) { console.log(n); // 0 1 2 3 n += 1; } /*1번코드는 조건은 걸려있지만 해당 조건에 대해서 거짓이 되는 시점이 없기 때문에 무한 반복문이 생성되어 브라우저의 무리가 되는 즉, Error라고 불릴 수 있는 현상이 발생한다.*/ 반복문 Do while 조건을 평가하기..
반복문 For 주어진 조건이 true인 동안 코드블록을 반복해서 실행하며 초기화, 조건, 증감 작업을 포함한 세 가지 부분으로 구성된다. for(초기화; 조건; 증감){ //실행할 코드 } /*==================================*/ //증가 for (let i = 0; i > 9; i += 1) { console.log(i); //0,1,2,3,4,5,6,7,8,9 } //감소 for (let i = 9; i > -1; i -= 1) { console.log(i); //9,8,7,6,5,4,3,2,1,0 } // 조건문과 함께 break 사용 // break : 특정 조건일때 실행하여 break를 통해 반복문을 종료할 경우 사용 for (let i = 9; i > -1; i -..
조건문 IF 프로그래밍에서 특정 조건이 참(true)인지 거짓(false)인지를 판단하여 해당하는 코드 블록을 실행하도록 하는 제어문으로 if조건문은 프로그램의 흐름을 제어하여 다양한 상황에 따라 다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number양수일 때 조건문*/ function isPositive(number) { if (number > 0) { return "양수"; } } console.log(isPositive(1)); //양수 console.log(isPositive(10)); //양수 console.log(isPositive(-2)); //undefined // -2가 undefiend가 나오는 이유는 number가 조건문..
자바스크립트의 최신 문법 중 하나로, 객체의 중첩된 속성에 접근(. 점표기법)할 때 해당 속성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발생하는 에러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능으로 이전의 문법에선 객체의 중첩된 속성에 접근할 때 각 단계마다 null 또는 undefined 여부를 확인하고 조건문을 사용하여 에러를 방지했어야 했지만 현재는 선택적 체이닝을 사용하면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되었다 아래와 같이 사용 즉, 다양한 상황에 Error가 발생하지 않게 예외처리를 하는 용도로 사용 ※선택적체이닝은 남용하면 안되고 같은 데이터구조에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는 특수한 상황에만 사용하도록 한다. const user = {}; console.log(user.name) // undefined const user = n..
객체와 배열에서 사용할 수 있는 문법으로 각 데이터에 구조에 맞게 개별 변수를 손쉽게 만들 수 있어서 편리하다.배열데이터에서 구조분해할당을 사용 시 const arr = [1, 2, 3]; // 공통코드 const a = arr[0]; const b = arr[1]; const c = arr[2]; console.log(a,b,c) // 1 2 3 /* 배열 데이터를 각각의 아이템을 별도의 변수에 할당을 하기위해선 각각 인덱싱을 진행하여 데이터를 꺼내서 사용해야한다. 이때 구조분해할당을 사용할 경우 조금 더 편리하게 사용가능하다.*/ // 1. 배열 구조분해할당사용한 예시코드 const [a, b, c] = arr; console.log(a,b,c) // 1 2 3 // 2. 배열 구조분해할당사용한 예시..
전개 연산자 (Spread Operator) 자바스크립트에서 배열이나 객체를 펼치는 데 사용되는 문법이다. 주로 배열이나 객체 내부의 요소들을 복사하거나 다른 배열이나 객체에 병합할 때 활용되며 전개 연산자는 "..." (세 개의 점)으로 표현된다. // 배열에 사용 되는 예시코드 const a = [1,2,3] console.log(a) //[1,2,3] 전개 연산자 사용 시 console.log(...a) //1,2,3 console.log(1,2,3)// 1,2,3 const b = [1,2,3] const c = [4,5,6] const d = [b,c] console.log(d) //[[1,2,3],[4,5,6]] 1. 전개연산자를 사용해서 b 와 c를 병합하여 한개의 새로운 배열로 만들기 c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