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element
- date
- ECMAScript
- webapi
- node
- typescript
- 가변성
- JavaScript
- 프로그래머스
- location
- 코딩테스트
- math
- react-router-dom
- 불변성
- context api
- 연산자
- promise
- javascirpt
- fetch
- URLSearchParams
- NEXT
- 동기
- react
- Web API
- 비동기
- Today
- Total
목록TypeScript (12)
sol의 개발로그
🔎 인터페이스(Interface)란? 코드의 구조를 정의하고 특정 타입이 가져야 하는 속성과 메서드의 형태를 명시하는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면 다른 객체가 특정 형태를 따르도록 강제할 수 있기에 코드의 일관성을 유ㅠ지하고 타입 체크를 강화할 수 있다. PascalCase로 작성해야한다. 🔎 활용용도 1. 객체 형태 정의 :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객체의 형태를 명확하게 정의하고 코드의 일관성을 유지한다. 2. 타입 체크 강화 :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면 객체가 특정 형태를 따르는지 타입체크를 강화할 수 있다. 3. 상속(Extending) : 인터페이스는 다른 인터페이스를 확장하여 새로운 인터페이스를 정의할 수 있다. 4. 선택적 속성과 읽기 전용 속성 : 인터페이스에서 ? 를 사용하여 속성을 선택..
🔎 타입 단언(Assertion) '단언'의 사전적 의미는 주저하지 아니하고 딱 잘라 말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타입 단언(Type Assertion)"은 개발자가 컴파일러에게 특정 값의 타입을 확신시켜 주는 것을 의미하며 타입스크립트가 정확한 타입을 유추하지 못하거나 개발자가 더 자세한 정보를 제공하고 싶을 때 사용된다. 타입스크립트 컴파일러에게 "나는 이 값의 타입을 정확히 안다"는 것을 알려주는 것이기 때문에 잘못 사용하게 되면 any라는 타입을 사용하듯 타입스크립트를 사용하는 이유가 없어질 수 있으니 정확히 이해하고 사용해야 한다. 여기서 잠깐❗❗ Q : 타입 단언은 왜 하는 건가요? const el = document.querySelector("body"); //'el'은(는) 'null'일..
📌TypeScript는 모든 부분에 매번 타입을 직접 지정하지 않아도 된다? A : 맞습니다! Typescript는 타입추론이라는 것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추론'이란 어떠한 판단을 근거로 삼아 다른 판단을 이끌어낸다는 사전적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 타입추론(Inference) let num = 12; num = "Hello ype!!"; //'string' 형식은 'number' 형식에 할당할 수 없습니다. 위의 코드는 기존 알고 있던 자바스크립트와 동일하다 하지만 위와 같은 코드를 타입스크립트에서는 num변수에 숫자타입을 가지고 있는 데이터가 할당되었기 때문에 num변수의 타입은 숫자다라고 추론을 하여 재할당 시 추론한 숫자데이터에 문자데이터가 할당이 되기 때문에 오류가 발생하는 것이다. 즉, ..

🔎 타입의 종류 문자, 숫자, 불린, Null, Undefined, 배열, 객체, 함수, Any, Unknown, Tuple, Void, Never, Union, Intersection Typescript는 Initialization 값은 데이터를 지정하지 않을 수 있지만 다음에 같은 이름의 변수로 데이터를 넣는다면 문자열만 받을 수 있다. 아래 예시 코드로 알아볼 수 있다. 🔎1. 기본 타입 선언 📌1-1. 문자열 let str: string; let red: string = "Red"; let green: string = "Green"; let myColor: string = `My color is ${red}`; let yourColor: string = "Your color is" + green;..

TypeScript란? 2012년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발표된 프로그래밍언어로 Javascript의 확장된 버전으로 정적타입 문법을 지원하여 개발자가 코드의 유형을 명시하고 검사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를 통해 코드의 가독성을 높이고 오류를 사전에 방지하며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여 많이 사용된다. 정적타입의 컴파일 언어 자바스크립트(동적 타입) - 런타임에서 동작할 때 타입 오류 확인 타입스크립트(정적 타입) - 코드 작성 단계에서 타입 오류 확인 typescript는 브라우저에서 직접 동작하지않고, 자바스크립트로 변환(컴파일) 후 브라우저나 Node.js환경에서 동작한다. 주요 특징 1. 자바스크립트의 슈퍼셋으로 완벽하게 호환이 가능하며 대부분의 라이브러리, 프레임워크가 타입스크립트를 지원한다. 2. 정..